본문 바로가기

교육 - Education

조선 제2대 왕, 정종(定宗, 1357~1419)

정종(定宗)은 조선의 2대 왕으로, 태조 이성계의 둘째 아들입니다. 그는 왕위에 오르긴 했지만, 재위 기간이 짧고 태종 이방원이 실권을 잡으면서 크게 주목받지 않는 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왕권 교체기의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정종의 생애와 주요 업적

 

1️⃣ 출생과 배경

  • 1357년(고려 공민왕 6년), 태조 이성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 본명은 **이방과(李芳果)**이며, 고려 말 무신 가문에서 성장했습니다.
  • 형인 **이방우(태조의 장남)**가 일찍 사망하여 왕위 계승 서열이 높아졌습니다.

 

2️⃣ 즉위 과정 (1398년 9월 6일)

  • 1398년, 제1차 왕자의 난에서 동생 이방원이 왕권을 잡으면서 태조가 왕위를 정종에게 넘겼습니다.
  • 그러나 실권은 이미 이방원이 장악한 상태였으며, 정종은 형식적인 왕으로 즉위했습니다.

 

3️⃣ 재위 기간 (1398~1400)과 주요 정책

한양에서 개경으로 환도

  • 태조 때 한양으로 천도했지만, 정종은 다시 개경으로 환도하였습니다.
  • 하지만 이후 태종이 즉위하면서 다시 한양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도평의사사 폐지

  • 고려 시대부터 유지된 최고 의결 기구인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폐지하여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사병 혁파 시도

  • 당시 각 왕자들이 운영하던 사병(개인 군대)이 권력 다툼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 정종은 이를 줄이려 했지만, 결국 본격적인 사병 혁파는 태종 때 이루어졌습니다.

제2차 왕자의 난 (1400년)

  • 정종 재위 중에 이방간(셋째 왕자)이 이방원과 왕위 다툼을 벌이며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습니다.
  • 결국 이방원이 승리하고, 정종은 스스로 왕위를 이방원에게 넘겼습니다.

 

4️⃣ 퇴위 후와 최후

  • 1400년, 태종에게 왕위를 양위하고 상왕(上王)이 되었습니다.
  • 이후 개경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내다가 1419년(세종 1년), 6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정종의 평가와 특징

🔹 긍정적 평가

  • 왕권 강화를 위해 도평의사사를 폐지하는 등 개혁을 시도했습니다.
  • 왕자의 난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평화로운 왕위 이양을 이루었습니다.

🔹 부정적 평가

  • 실권이 없었고, 태종 이방원의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 개경 환도 정책은 장기적으로 실패했으며, 왕권이 흔들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종 한눈에 보기

항목내용
이름 이방과(李芳果)
생몰 연도 1357년 ~ 1419년
재위 기간 1398년 ~ 1400년 (2년)
왕위 계승 태조 → 정종 → 태종
주요 업적 도평의사사 폐지, 개경 환도, 왕자의 난 정리
묘소 후릉 (경기도 고양시)

📌 정리하면?

✅ 조선 초 왕권 다툼 속에서 잠시 즉위했던 왕
✅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 없음
✅ 제2차 왕자의 난 후 태종 이방원에게 왕위를 넘김
✅ 짧은 재위 기간이지만 개혁 정책을 추진하려 했음

💡 재위 기간이 짧아 크게 주목받진 않지만, 조선 왕위 계승의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