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9)
조선 27대 왕 순종 (純宗, 1874~1926) 재위: 1907년 ~ 1910년 (조선 27대 왕, 대한제국 2대 황제)휘: 이척(李坧)묘호: 순종(純宗)부왕: 고종왕비: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1. 즉위와 대한제국 황제로서의 출발 (1907년)순종은 고종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07년 일본의 강압으로 고종이 퇴위하면서 황제에 즉위하였습니다. 그러나 즉위 직후부터 실권이 없었으며, 대한제국은 이미 일본의 통제 아래 있었습니다.🔹 즉위 배경1907년, 고종이 헤이그 특사 사건으로 일본의 압력을 받아 강제 퇴위일본이 조선의 황제로서 순종을 즉위시킴즉위식은 일본군이 감시하는 가운데 진행됨즉위 직후, 순종은 일본의 꼭두각시 황제로 전락하였고,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했습니다.2. 일본의 강압과 대한제국의 몰락 (1907~1910년)순종이 즉위한 후, 일..
조선 26대 왕 고종 (高宗, 1852~1919) 재위: 1863년 ~ 1897년 (조선 26대 왕)대한제국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휘: 이형(李熙)묘호: 고종(高宗)부왕: 헌종(조카가 없어 철종이 즉위, 이후 고종이 철종의 뒤를 이음)왕비: 명성황후 민씨1. 즉위와 대원군의 섭정 (1863~1873)고종은 1863년, 철종이 후사가 없이 세상을 떠나면서 왕위에 올랐습니다. 당시 고종은 12세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그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하 대원군)**이 섭정을 맡아 정치를 주도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의 주요 개혁 정책왕권 강화: 세도정치의 폐해를 줄이고,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 확립경복궁 중건(1865): 조선의 국운 회복을 상징서원 철폐(1868): 전국의 서원을 정리하여 재정 확보 및 왕권 강화통상수교 거부 정책: 서양 세력의 ..
조선 25대 왕 철종 (哲宗, 1831~1864) 재위: 1849년 ~ 1864년 (15년)휘: 이환(李煥)묘호: 철종(哲宗)시호: 효명장헌대왕(孝名莊憲大王)아버지: 헌종(24대 왕)어머니: 신정왕후 윤씨왕비: 민씨, 이씨 등 여러 명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831년, 헌종과 신정왕후 윤씨의 아들로 태어남.✅ 1849년, 19세의 나이에 왕위에 즉위.철종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후견인 정치가 지속되었습니다.왕위에 오른 직후, 조정 내의 정치적 갈등과 외척 세력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보수적 성향을 가진 김병학(정치적 지도자) 등의 후견인이 정치를 주도했습니다.2. 주요 업적과 정책⚖ 1) 정치적 혼란과 왕권 강화 노력✅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철종은 왕위에 오르면서 정치적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나, 외척 세력과 사대부의 강력한 영향력 속에서 ..
조선 24대 왕 헌종 (憲宗, 1827~1849) 재위: 1834년 ~ 1849년 (15년)휘: 이재(李㼆)묘호: 헌종(憲宗)시호: 경혜장효대왕(景惠莊孝大王)아버지: 순조(23대 왕)어머니: 철인왕후 한씨왕비: 효명왕후 민씨, 순빈 이씨 등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827년, 순조와 철인왕후의 아들로 태어남.✅ 1834년, 7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헌종은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고, 이로 인해 후견인 정치가 이뤄졌습니다.즉위 초, 김조순을 중심으로 보수적 세력이 정치의 주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김조순은 왕권 강화와 정치적 안정을 목표로 했습니다.왕권 강화를 위해 세습적 정치적 세력과의 갈등이 일어났습니다.2. 주요 업적과 정책⚖ 1)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 정치적 안정헌종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 왕권 강화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했지만, ..
조선 23대 왕 순조 (純祖, 1790~1834) 재위: 1800년 ~ 1834년 (34년)휘: 이공(李恭)묘호: 순조(純祖)시호: 효명장헌대왕(孝名莊憲大王)아버지: 정조(22대 왕)어머니: 순원왕후 김씨왕비: 순빈 이씨 등 여러 명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790년, 정조의 아들로 태어남.✅ 정조 사망 후 1800년, 10세의 나이로 즉위✅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면서 왕권 강화를 위해 후견인인 세자빈 이씨와 정치적 인물들이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함.✅ 왕위 즉위 후, 고관들의 세습과 권력 충돌이 있었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조치가 필요했다.2. 주요 업적과 정책⚖ 1) 정치적 혼란과 권력 집중✅ **순조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정치적 결정은 후견인(대왕이)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순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정치적 갈등과..
조선 22대 왕 정조 (正祖, 1752~1800) 재위: 1776년 ~ 1800년 (24년)휘: 이산(李瑯)묘호: 정조(正祖)시호: 건효대왕(建孝大王)아버지: 영조(21대 왕)어머니: 효의왕후 김씨왕비: 순원왕후 김씨, 혜빈홍씨 등 여러 명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752년, 영조와 효의왕후 김씨의 아들로 태어남.✅ 1776년, 아버지 영조 사망 후 25세에 즉위.✅ 정조는 영조의 후계자로서 왕위에 올랐으며, 그의 즉위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짐.✅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고, 내부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둠.✅ 정조는 정치적 독립을 위해 외척 세력과의 충돌을 겪음.2. 주요 업적과 정책⚖ 1) 탕평책의 완성 및 개혁✅ 탕평책의 완성정조는 영조의 탕평책을 완성시키고, 당파 간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을 이어갔습니다.당파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조선 21대 왕 영조 (英祖, 1694~1776) 재위: 1724년 ~ 1776년 (52년)휘: 이금(李昑)묘호: 영조(英祖)시호: 장헌효대왕(莊憲孝大王)아버지: 경종(20대 왕)어머니: 혜경궁 홍씨왕비: 정순왕후, 인원왕후 김씨 등 여러 명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경종의 사망 후 1724년, 30세의 나이로 즉위✅ 경종 사망 후, 후계 문제로 정국 불안정했으나 노론의 지원을 받으며 즉위✅ 즉위 초, 신하들의 강력한 반대와 갈등 속에서 왕권을 확립✅ “탕평책”으로 당쟁을 극복하며 강력한 왕권을 구축2. 주요 업적과 정책⚔ 1) 탕평책 (당쟁 해결과 정치 안정)✅ 탕평책: 당파 간 균형을 맞추고, 당파적 충돌을 해결하려는 정책.노론과 소론의 균형을 맞추어 정국 안정화.당쟁을 해결하고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인재 등용에서 당파를 초월하려는 노력을 기울..
조선 20대 왕 경종 (景宗, 1688~1724) 재위: 1720년 ~ 1724년 (4년)휘: 이윤(李昀)묘호: 경종(景宗)시호: 덕문인무명의정효대왕(德文仁武明懿靖孝大王)아버지: 숙종(19대 왕)어머니: 인경왕후(조기 사망), 후궁 장희빈(생모)왕비: 단의왕후 심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688년, 숙종과 장희빈 사이에서 태어남.✅ 1694년, 숙종이 장희빈을 폐위하며 정치적 입지가 약해짐.✅ 1718년, 숙종이 건강 악화로 경종에게 대리청정(정치 대리 수행) 맡김.✅ 1720년, 숙종 사망 후 즉위 (33세).✅ 즉위 후 서인(노론·소론) 간의 갈등이 심화됨.2. 주요 업적과 정책⚔ 1) 노론 vs. 소론 당쟁 격화✅ 노론: 왕세제(연잉군, 훗날 영조) 책봉을 강하게 주장.✅ 소론: 경종을 적극 지지하며 노론과 대립.⚠ 결국 노론 4대신(김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