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 19대 왕 숙종 (肅宗, 1661~1720) 재위: 1674년 ~ 1720년 (46년)휘: 이순(李焞)묘호: 숙종(肅宗)시호: 성대왕(成大王)아버지: 현종(18대 왕)어머니: 명성왕후 김씨왕비: 인경왕후 김씨, 인현왕후 민씨, 인원왕후 김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1674년, 14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 즉위 초반 남인이 정권을 장악 (2차 예송 논쟁 승리 영향)✅ 성인이 되면서 직접 정치를 시작하며 당쟁을 이용한 환국(換局) 정치 시행2. 주요 업적과 정책⚔ 1) 환국(換局) 정치 (서인 vs. 남인의 권력 교체 반복)✅ 서인과 남인을 교대로 숙청하여 왕권 강화.경신환국 (1680년): 남인 몰락 → 서인 집권.기사환국 (1689년): 서인 몰락 → 남인 재집권 (장희빈 영향).갑술환국 (1694년): 남인 몰락 → 서인(노론·소론) 재집.. 조선 18대 왕 현종 (顯宗, 1641~1674) 재위: 1659년 ~ 1674년 (15년)휘: 이연(李棩)묘호: 현종(顯宗)시호: 공손희문장무의인성효대왕(恭遜熙文章武懿仁誠孝大王)아버지: 효종(17대 왕)어머니: 인선왕후 장씨왕비: 명성왕후 김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효종의 장남으로 세자 책봉 (1651년, 11세)✅ 1659년, 아버지 효종이 사망하면서 19세의 나이로 즉위✅ 즉위 직후 서인과 남인의 당쟁 본격화 (예송 논쟁 발생)2. 주요 업적과 정책⚔ 1) 예송 논쟁 (서인 vs. 남인 당쟁 심화)✅ 효종 사망 후 국상(國喪) 문제로 서인과 남인이 대립.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인조의 왕비) 상복을 몇 년 입을지 논쟁 발생.1차 예송(1659년): 서인은 1년, 남인은 3년 주장 → 서인의 1년설 채택.2차 예송(1674년): 현종 사망 후.. 조선 17대 왕 효종 (孝宗, 1619~1659) 재위: 1649년 ~ 1659년 (10년)휘: 이호(李淏)묘호: 효종(孝宗)시호: 문무대왕(文武大王)아버지: 인조(16대 왕)어머니: 인열왕후 한씨왕비: 인선왕후 장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병자호란(1636) 당시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감1636년 병자호란 발발,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항복.청나라의 요구로 왕자(봉림대군, 즉 후일의 효종)와 소현세자가 볼모로 끌려감.볼모 생활 중 청나라의 군사 체계를 보고 배움.소현세자가 먼저 귀국 후 사망, 효종(봉림대군)이 1645년 귀국.🔹 소현세자 사망 후 왕위 계승소현세자가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고, 봉림대군이 세자로 책봉됨.1649년, 인조 사망 후 효종 즉위.2. 주요 업적과 정책⚔ 1) 북벌 정책 추진 (청나라에 대한 복수 계획)✅ 청나라에 대한 원.. 조선 16대 왕 인조 (仁祖, 1595~1649) 재위: 1623년 ~ 1649년 (26년)휘: 이종(李倧)묘호: 인조(仁祖)시호: 효문열무정헌성숙광장경덕순인명의선대왕아버지: 원종(추존왕)어머니: 인헌왕후 구씨왕비: 인열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인조반정 (1623년) - 광해군 폐위 후 즉위광해군(15대 왕)이 실리 외교(명·후금 사이 중립)를 펼치자, 서인 세력이 반발.서인 중심의 무장 쿠데타인 인조반정(1623년)이 발생, 광해군 폐위.이후 인조가 왕위에 오르며 서인 정권이 수립됨.✅ 친명 배경의 서인 세력이 정권 장악✅ 광해군의 개혁 정책 폐기, 서인 중심의 정국 운영✅ 명나라와 후금(청) 사이에서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 추진⚠ 하지만 후금(청나라)과의 갈등 심화로 전쟁(정묘호란, 병자호란) 발생.2. 주요 업적.. 조선 15대 왕 광해군 (光海君, 1575~1641) 재위: 1608년 ~ 1623년 (15년)휘: 이혼(李琿)묘호: 없음 (폐위된 왕)시호: 없음아버지: 선조(14대 왕)어머니: 공빈 김씨왕비: 폐비 유씨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왕세자 책봉 (1592년, 임진왜란 중)1592년 임진왜란 발발 후, 선조가 피란하면서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피란 중에도 조정을 이끌며 군량미 조달과 외교를 담당.명나라와 조선을 연결하는 외교 활동을 하면서 정치적 경험을 쌓음.🔹 왕위 계승 갈등 (광해군 vs. 영창대군)선조는 후궁 인목왕후(정식 왕비) 사이에서 영창대군을 낳음.일부 신하들이 영창대군을 새로운 세자로 밀어주면서 왕위 계승 논란 발생.그러나 선조가 1608년 사망하면서, 결국 광해군이 왕위에 오름.2. 주요 업적 (내치 및 외교 정책)⚖ 1) 전란 이후의.. 조선 14대 왕 선조 (宣祖, 1552~1608) 재위: 1567년 ~ 1608년 (41년)휘: 이연(李昖)묘호: 선조(宣祖)시호: 성렬의열광문헌무명의철인장효대왕(聖烈懿烈光文憲武明毅哲仁莊孝大王)아버지: 덕흥대원군 이초 (왕족이지만 왕위 계승 서열에서 멀었음)어머니: 하동부대부인 정씨왕비: 의인왕후 박씨, 인목왕후 김씨1. 즉위 과정과 초기 정치🔹 즉위 배경 (1567년, 명종 후사 없이 승하)조선 13대 왕 명종이 후사 없이 34세의 나이로 사망.당시 종친 중 가장 적합한 인물로 선조(이연)가 왕위에 오름.명종과는 사촌 관계이며, 왕위 계승 서열에서 비교적 멀었음.🔹 즉위 후 개혁 추진 (훈구파 견제, 사림 세력 등용)✅ 훈구파 대신 사림파 중심의 정치 운영명종 시대까지 권력을 장악했던 훈구 세력을 견제하고 사림을 대거 등용.사림파의 대표적 인물 이.. 조선 13대 왕 명종 (明宗, 1534~1567) 재위: 1545년 ~ 1567년 (22년)휘: 이환(李峘)묘호: 명종(明宗)시호: 성도연덕장의의열문헌무순인효대왕(聖道淵德章義烈文憲武純仁孝大王)아버지: 중종(11대 왕)어머니: 문정왕후 윤씨왕비: 인순왕후 심씨1. 생애와 즉위 과정🔹 출생과 어린 시절1534년(중종 29년), 중종과 문정왕후 윤씨 사이에서 태어남.어머니인 문정왕후의 정치적 야심으로 보호받으며 성장.형(12대 왕 인종)과는 이복형제 관계.🔹 즉위 (1545년, 을사사화 발생)1545년, 인종이 즉위 1년 만에 갑자기 사망(독살설 있음).인종 사망 후 문정왕후의 정치적 개입으로 12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름.즉위 직후, 문정왕후의 측근 윤원형이 사림파를 숙청(을사사화).2. 주요 업적⚖ 1) 문정왕후의 섭정 (1545~1565년)✅ 사.. 조선 12대 왕 인종 (仁宗, 1515~1545) 재위: 1544년 ~ 1545년 (1년)휘: 이호(李峼)묘호: 인종(仁宗)시호: 인문소무흠성명효대왕(仁文昭武欽聖明孝大王)아버지: 중종(11대 왕)어머니: 장경왕후 윤씨왕비: 인성왕후 박씨1. 생애와 즉위 과정🔹 출생과 어린 시절1515년(중종 10년), 중종과 장경왕후 윤씨 사이에서 태어남.태어난 지 7일 만에 어머니 장경왕후가 사망, 후궁들이 양육함.정식 세자로 책봉되기까지 문정왕후(중종의 계비)와 갈등이 있었음.🔹 세자로서의 성장1520년(중종 15년), 정식으로 세자로 책봉.유교적 소양과 학문에 능했고, 어진 성품과 신중한 판단력을 지닌 인물로 평가.하지만 문정왕후와 그의 아들(훗날 명종)의 존재가 정치적으로 부담이었음.🔹 즉위 (1544년)1544년(중종 39년), 중종이 승하하면서 30세의..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