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위: 1659년 ~ 1674년 (15년)
- 휘: 이연(李棩)
- 묘호: 현종(顯宗)
- 시호: 공손희문장무의인성효대왕(恭遜熙文章武懿仁誠孝大王)
- 아버지: 효종(17대 왕)
- 어머니: 인선왕후 장씨
- 왕비: 명성왕후 김씨
1. 즉위 과정과 정치적 배경
✅ 효종의 장남으로 세자 책봉 (1651년, 11세)
✅ 1659년, 아버지 효종이 사망하면서 19세의 나이로 즉위
✅ 즉위 직후 서인과 남인의 당쟁 본격화 (예송 논쟁 발생)
2. 주요 업적과 정책
⚔ 1) 예송 논쟁 (서인 vs. 남인 당쟁 심화)
✅ 효종 사망 후 국상(國喪) 문제로 서인과 남인이 대립.
- 효종의 계모인 자의대비(인조의 왕비) 상복을 몇 년 입을지 논쟁 발생.
- 1차 예송(1659년): 서인은 1년, 남인은 3년 주장 → 서인의 1년설 채택.
- 2차 예송(1674년): 현종 사망 후 다시 논쟁 → 이번엔 남인의 3년설 채택.
⚠ 서인과 남인의 권력 다툼이 격화됨.
⚠ 예송 논쟁이 이후 숙종 때의 환국(換局) 정치로 이어짐.
🏛 2) 대동법 확대 시행 (조세 개혁)
✅ 공납(특산물 납부) 대신 쌀·포목·동전으로 세금 납부 가능하도록 함.
✅ 백성들의 세금 부담을 줄이고, 경제 운영의 효율성 증가.
⚖ 3) 국방 및 외교 정책
✅ 청나라와의 관계 유지 (친청 정책)
- 효종의 북벌 정책이 실패한 이후, 청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
- 명나라가 멸망한 후, 청나라와 현실적 외교 정책 추진.
✅ 변방 방어 강화
- 서북 지역(압록강, 두만강) 방어 강화 조치.
- 일본과의 외교를 안정적으로 유지.
🔬 4) 학문과 문화 진흥
✅ 국가 주도로 역사서 편찬 진행.
- <동국통감제강> 편찬 (조선 왕조 역사 정리).
- 성리학 연구 장려.
✅ 천문학 발전
- 천문 기구 보수 및 운영.
3. 현종의 말년과 사망 (1674년, 향년 34세)
✅ 1674년, 병으로 34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
✅ 아들 숙종(19대 왕)이 즉위.
✅ 현종 사후, 2차 예송 논쟁으로 남인이 집권.
4. 현종의 평가
✅ 장점 (긍정적 평가)
✔️ 대동법 확대 시행으로 경제 개혁.
✔️ 외교적으로 안정적인 국정 운영.
✔️ 학문과 문화 발전을 지원.
❌ 단점 (부정적 평가)
⚠ 예송 논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당쟁 심화.
⚠ 국방력 강화 노력 부족 (효종의 북벌 정책을 계승하지 못함).
📌 역사적 논란
- 효종의 북벌 정책을 계승하지 못하고 소극적 외교 정책 유지.
- 예송 논쟁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해 숙종 대에 당파 싸움이 극심해짐.
5. 결론
현종은 대동법 확대 시행과 학문 진흥에 기여한 왕이지만,
예송 논쟁을 해결하지 못해 조선 정치가 당쟁의 혼란으로 빠지는 계기가 됨.
👉 "조용한 국정 운영을 했지만, 당쟁 심화로 혼란을 남긴 왕" ⚖️
'교육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20대 왕 경종 (景宗, 1688~1724) (0) | 2025.04.01 |
---|---|
조선 19대 왕 숙종 (肅宗, 1661~1720) (0) | 2025.03.31 |
조선 17대 왕 효종 (孝宗, 1619~1659) (0) | 2025.03.29 |
조선 16대 왕 인조 (仁祖, 1595~1649) (0) | 2025.03.28 |
조선 15대 왕 광해군 (光海君, 1575~1641) (0) | 2025.03.27 |